김 가격 인상, 동원F&B가 이끄는 변화의 물결
우리나라 조미김 시장의 절대 강자인 동원F&B가 오는 6월부터 김 가격을 15% 인상한다고 밝혔습니다.
이번 가격 인상은 김 가공 전 원재료인 원초 가격의 급등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습니다.
CJ제일제당과 광천김, 대천김, 성경식품에 이어 동원F&B도 가격 인상을 결정했습니다.
동원F&B, 김 가격 인상 배경
조미김 시장 점유율 20% 이상을 차지하는 동원F&B는 김의 평균 가격을 15%가량 인상한다고 발표했습니다.
대표 제품인 동원 ‘양반 들기름김’(4.5g·20봉)의 가격은 9480원에서 1만980원으로 1500원(15.8%) 오릅니다.
또한 ‘양반 참기름김’(식탁 9봉)은 4780원에서 5480원으로 700원(14.6%) 인상됩니다.
이번 인상은 대형마트, 편의점, 온라인 등 모든 판매 채널에 적용될 예정입니다.
원초 가격 급등의 영향
동원F&B는 "원초 가격 급등으로 인한 수익성 악화를 감내하기 어려워 불가피하게 가격을 인상한다"고 설명했습니다.
김 가공 전 원재료인 원초 가격은 1년 전의 2배로 올랐습니다.
이는 글로벌 작황 부진으로 공급이 줄어든 반면, K-푸드 인기로 인해 글로벌 김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입니다.
타사 김 가격 인상 현황
앞서 CJ제일제당은 이달 초 김 가격을 11∼30% 인상한 바 있습니다.
CJ제일제당의 'CJ비비고 직화 들기름김’(5g·20봉), ‘CJ 비비고 직화 참기름김’(4.5g·20봉) 가격은 8980원에서 9980원으로 1000원(11%) 올랐습니다.
또한 ‘CJ 명가 재래김’(4g·16봉)은 5380원에서 6980원으로 1600원(30%) 인상되었습니다.
김 전문업체인 광천김과 대천김, 성경식품도 이달부터 주요 제품 가격을 10∼30%가량 인상했습니다.
소비자들에게 미치는 영향
김 가격 인상은 소비자들의 가계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특히 김을 자주 소비하는 가정에서는 월간 식품 비용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.
이로 인해 김의 소비량이 줄어들거나, 가격이 낮은 대체 제품으로의 전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업계의 대응 방안
김 업계는 가격 인상 외에도 품질 향상 및 새로운 제품 개발을 통해 소비자들의 관심을 유지하려 노력하고 있습니다.
동원F&B는 이번 가격 인상과 더불어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통해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할 계획입니다.
또한 친환경적이고 지속 가능한 원초 공급 방안을 모색하는 등 장기적인 대책 마련에도 힘쓰고 있습니다.
미래 전망
이번 김 가격 인상은 단기적인 충격을 줄 수 있으나, 장기적으로는 원초 공급의 안정화와 글로벌 시장 확장을 위한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.
김 업계는 품질 향상 및 다양한 신제품 개발을 통해 시장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것입니다.
소비자들도 이러한 변화를 주의 깊게 지켜보며 합리적인 소비를 이어나갈 필요가 있습니다.
*다른 흥미로운 포스팅이 궁금하시면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^^